국민취업지원제도

 

취업지원제도는 구직자가 안정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정부나 지방자치단체,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혜택을 말합니다. 실업자, 청년, 경력단절여성, 중장년층,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운영됩니다. 

1. 국민취업지원제도 

대상: 저소득층, 청년, 중장년 등 구직자
지원내용:

  • 취업상담 및 취업활동계획 수립
  • 직업훈련, 일자리 알선
  • 구직촉진수당(월 최대 50만 원, 최대 6개월) (요건 충족 시)
  • 취업성공 시 취업성공수당

2. 청년 관련 제도

① 청년내일채움공제

대상: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
내용: 일정 기간(2년3년) 근무 시 **최대 1,2003,000만 원** 목돈 마련 가능 (본인+기업+정부 공동 적립)

② 청년도전지원사업

대상: 비진학·비취업 청년(NEET 청년)
내용: 동기부여 프로그램 + 직업훈련 + 월 30만 원 참여수당 지급


3. 여성취업지원 (경력단절여성 포함)

  • 여성새로일하기센터(새일센터): 취업상담, 직업훈련, 인턴십 연계
  • 경단여성 인턴제도: 중소기업 인턴 기회 제공 + 인건비 일부 지원

4. 중장년·장애인 지원

  •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: 맞춤형 일자리 정보, 취업 컨설팅
  • 장애인고용공단: 직업훈련, 근로지원인 지원, 맞춤형 채용 연계

5. 직업훈련 지원제도

① 국민내일배움카드

대상: 거의 모든 구직자 및 재직자
내용: 최대 500~600만 원 훈련비 지원 (훈련비의 85~100%)
용도: IT, 디자인, 요양보호사, 기능사 등 다양한 분야 수강 가능


6. 취업성공패키지 (현재는 국민취업지원제도로 통합됨)

기존에 운영되던 제도로 현재는 국민취업지원제도로 통합되어 **1유형(저소득층)과 2유형(청년·중장년층 등)**으로 운영 중


7.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지원

  • 각 시·군·구청 또는 일자리센터에서 제공
  • 청년공공일자리, 노인일자리,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등 운영

신청방법 

  • 워크넷 (www.work.go.kr)
  • 고용센터 방문 (전국 고용노동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)
  • 지자체 일자리센터, 새일센터, 청년센터 등
  • HRD-Net (훈련신청 전용)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2025년 청년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완벽 정리 (교육부 기준)

공공요금부담경감크레딧

소상공인을 살리는 소비 리워드! 상생페이백 지원사업 완벽 안내